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181537
서중교 원장
서현S마취통증의학과의원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찌릿한 느낌이 드는 경험. 꽤 많은 사람들이 겪어봤음직한 증상이다. 이런 증상을 느끼면 대부분 사람들은 ‘혹시 내가 디스크가 아닌가’ 걱정을 하게 된다. 허리통증은 환자의 연령대에 따라 유병률이 다르기는 하지만 대개 디스크나 협착증이 아닌 장요근, 요방형근, 척추기립근, 둔근, 복근 등 허리를 지탱하는 근육에 문제가 생겨 나타난다. 근육통을 방치하거나 허리에 부담을 주는 좋지 못한 자세를 계속 유지할 경우는 정말 디스크나 협착증의 병이 올 수 있다.
디스크나 척추협착증은 완전히 다른 질환이다. 디스크는 인체의 무게 중심이 허리로 옮겨지면서 얻은 질환이다. 허리의 디스크가 견딜 수 없는 만큼의 부하가 일시적으로 혹은 오랜 시간 누적되어 작용하면 척추뼈 사이가 좁아지고 공간을 확보 못한 디스크가 좁은 추체사이의 공간을 비집고 나와 신경을 압박해서 통증이 생긴다.
협착증은 노화에 의해 척수에서 허리신경이 지나가는 길목인 척추관에 뼈가 자라나고 추체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신경이 눌리게 되는 병. 신경압박에 의해 허리 통증은 물론 걷다가 중간 중간에 쉬어 줘야하는 ‘간헐성 파행’과 같은 증상이 유발된다. 이러한 질환의 치료는 우선 ‘인대증식치료(prolotherapy, 프롤로테라피)’로 인대를 강화해 척추뼈 사이를 벌려주면서 틀어진 곳을 바로 잡는 물리치료가 필요하다.
작은 발바닥으로 큰 몸을 지탱하는 인체의 특성상 뇌와 다리 사이에 무수히 많은 정보가 오간다. 정보는 먼저 다리에서 척추를 통해서 척추, 다리, 몸통 의 근육으로 전달되어 두 발로 평형을 유지하며 서 있도록 한다. 이런 정보 중 척추관절의 감각수용체에서 소쇠 및 대뇌로 전달되는 정보의 양이 가장 많은데 이러한 부분을 세심하게 치료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비수술적 척추질환 치료인 인대증식치료와 물리치료를 치료받으면 손상된 디스크와 인대를 좀 더 튼튼히 해주기 때문에 재발을 예방하는 것에도 도움이 된다.